2025-08-10

1일 1아티클

요즘IT

사용량 기반 과금

소프트웨어 과금 모델의 역사

  1. 영구 라이선스 방식 (한번 사면 평생 내것)
  2. SaaS 모델 (정기 구독 방식, 클라우드 인프라의 확대와 함께 등장)
  3. 사용량 기반 과금 모델 (Usage-Based Pricing, 대규모 연산 자원 소모로 인해 대두됨)

    소프트웨어 과금 모델의 ‘세 번째 물결’

OpenAI의 사용량 기반 과금 적용 전략

  • 토큰 기반 과금
    • ` 토큰 `
      • 사용자 입장 : 직관적으로 보이는 입/출력 텍스트 처리량
      • OpenAI 입장 : 실제 연산 비용과 직결되는 개념
    • 사용자 체험과 리소스 사용량을 이어주는 매개 역할
      • 사용자 입장 : 자신의 요청이 어느 정도 비용으로 다가올지 예측 가능
      • OpenAI 입장 : 거대 LLM 운영의 불확실한 비용을 상대적으로 예측 가능
  • PayGo 모델 & 선불 크레딧
    • 초기 고객은 $5의 낮은 금액으로 경험
      • 적은 금액으로 진입 장벽을 낮춤과 동시에, 무료는 아니므로 남용/악용 억제 효과
    • 크레딧 소진 시 API 호출 자동 중단
      • 고객 입장에서 불필요한 과소비나 미납 사용 방지
    • 대규모 사용 고객은 연속 충전 / 엔터프라이즈 전용 계약으로 서비스 중단 없는 이용
  • 빌링’ 도 ‘제품 경험’ 으로
    • 대시보드
      • 사용자의 과금 내역을 실시간으로, 항목별로 상세하고 쉽게 확인 가능
      • 기간별 사용 한도 설정 및 알람 기능으로 사용자의 요금 폭탄 방지

        ‘빌링’이 단순 영수증이 아닌, ‘실시간 사용자 경험’ 이라는 철학.

오늘 배운 것

  1. 깃허브 블로그 사용자수 집계 구현

내일 할 일

  1. 알고리즘 공부

참고자료

results matching ""

    No results match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