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8

오늘 배운 것

알고리즘

🔗 D5_3421_수제버거장인

d5는 다르군요.. 바이너리로 조합의 종류를 나타내는걸 한번에 알아내지 못해서.. 결국 또 ai 힘을 빌렸습니당.. 비트마스킹 알고리즘은 항상 한번에 생각이 안드는 것 같아염.. 이문제는 다시푸는걸로..

CSS

명시도 X-Y-Z

  • 선택자를 이용해서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한 값
    • X : ID 선택자의 개수
    • Y : class 선택자, 속성 상태자, 가상 클래스 선택자의 개수
    • Z : 타입 선택자, 가상 요소 선택자의 개수

기본 선택자

  • * {} : 전체 선택자
    • 명시도 0-0-0
    • HTML 문서 내 모든 요소를 선택하며, 주로 user agent의 css를 reset하는 용도로 사용
  • p {} : 태그 선택자
    • 명시도 0-0-1
    • 지정된 태그명을 가진 요소를 선택
  • .header {} : 클래스 선택자
    • 명시도 0-1-0
    • 특정 클래스 속성 값을 가진 요소를 선택. 하나의 태그에 여러 클래스 선언 가능
  • #logo {} : ID 선택자
    • 명시도 1-0-0
    • 특정 id 속성 값을 가진 요소를 선택

복합 선택자

  • section > p {} : 자식 선택자
    • 명시도 각 선택자의 합(예시 -> 0-0-2)
    • 부모 요소의 직계 자식 요소를 선택
  • section p {} : 자손 선택자
    • 명시도 각 선택자의 합(예시 -> 0-0-2)
    • 부모 요소의 하위 모든 요소(자손)를 선택
  • header + p {} : 인접 형제 선택자
    • 명시도 각 선택자의 합(예시 -> 0-0-2)
    • 지정된 요소의 바로 다음 형제 요소를 선택
  • header ~ p {} : 일반 형제 선택자 선택자
    • 명시도 각 선택자의 합(예시 -> 0-0-2)
    • 지정된 요소의 다음에 오는 모든 형제 요소 선택

속성 선택자

  • [data-type] {} : [attr] 선택자
    • 명시도 0-1-0
    • 특정 속성을 가진 요소를 선택
  • [type="text"] {} : [attr=val] 선택자
    • 명시도 0-1-0
    • 특정 속성 값이 정확히 일치하는 요소를 선택
  • [lan|="ko"] {} : [attr|=] 선택자
    • 명시도 0-1-0
    • 특정 속성 값이 정확히 일치하거나 해당 값 뒤에 하이픈(-)이 오는 경우
  • [href^="https"] {} : [attr^=val] 선택자
    • 명시도 0-1-0
    • 특정 속성 값으로 시작하는 요소를 선택
  • [href$=".pdf"] {} : [attr$=val] 선택자
    • 명시도 0-1-0
    • 특정 속상 값으로 끝나는 요소를 선택
  • [class~="button"] {} : [attr~=val] 선택자
    • 명시도 0-1-0
    • 특정 속성 값을 단어로 포함하는 요소를 선택 (해당 속성 값 앞뒤에 바로 글자가 오면 안되고 공백으로 구분되어야함)
  • [class*="dark"] {} : [attr*=val] 선택자
    • 명시도 0-1-0
    • 특정 속성 값을 포함하는 요소를 선택(이건 그냥 포함!)

가상 클래스 선택자

  • 실제로 class 형태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class를 지정하기 위한 것
  • 클래스 이름 앞에 : 추가
  • 개발자가 태그에 가상 클래스를 지정할 필요는 없음

  • 구조적 가상 클래스
    • li:first-child {} : E:first-child 선택자
      • 명시도 0-1-0
      • E가 첫번째 자식으로 등장한 요소
    • li:last-child {} : E:last-child 선택자
      • 명시도 0-1-0
      • E가 마지막 자식으로 등장한 요소
    • tr:nth-child(2n) {} : E:nth-child(n) 선택자
      • 명시도 0-1-0
      • 앞에서 n 번째 자식 요소
      • 처음 요소는 1
      • n 은 0부터 시작하는 정수값이며 2n, 2n+1 등 연산식 사용 가능
      • 짝수 번째, 홀수 번째를 의미하는 evne, odd사용 가능
    • tr:nth-last-child(even) {} : E:nth-last-child(n) 선택자
      • 명시도 0-1-0
      • 뒤에서 n 번째 자식 요소

box model

  • 텍스트, 이미지 등의 모든 콘텐츠를 사각의 박스 형태로 관리하는 모델
  • 구성 요소
    • content
    • padding
    • border
    • margin

display 속성

  • block 요소는 width와 height를 갖지만 inline 요소는 무시됨

box-sizing

  • width와 height를 측정할 때의 기준 설정
    • box-sizing : content-box;
      content만 해당 width, height
    • box-sizing : border-box;
      content + padding + border 합해서 해당 width, height

line-height

  • 줄 간격을 지정하는 속성으로 블록 요소내 컨텐트의 세로 중앙 정렬에 자주 사용됨

내일 할 것

  • 토스 코딩 테스트 치고 꼭 내용 기록하기
  • css2, js1, js2 복습
  • Real mySQL 챕터 4 읽고 기록하기
  • 대규모 설계 시스템 책 읽고 기록

results matching ""

    No results match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