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1일 1아티클

데보션

앱 성능 측정

서버, 백엔드 상호작용이 포함된 앱의 기본 측정 지표

  • 응답 시간
  • API 지연 시간(백엔드와의 통신 시간)
  • 처리량(RPS, TPS, etc.)
  • CPU/메모리 사용량
  • 오류율(Error Rate)
  • Page Load Time(PL)
    • 요청 후 첫번째 UI가 완전히 표시되기까지의 시간
    • 3초 이상 : 사용자의 43% 이탈, 5초 이상 : 사용자의 90% 이탈
  • 사용자 인터랙션 반응 시간(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앱의 반응 속도)
    • Tap Latency : 탭 입력 후 UI 반영까지의 시간
      • 0.1s(이상적) : 순간적, 0.5s : 즉각적, 1s 이상 : 체감 반응 속도 BAD
    • Scroll Responsiveness : 스크롤 시 화면이 부드럽고 빠르게 따라오는 정도
      • 프레임 드롭 발생 / 16ms(60fps) 기준 벗어남 : 버벅인다고 느낌
    • INP(Interaction to Next Paint) : 페이지 상호작용 전반의 반응성
      • 0.2s

앱 전용 지표

  • 앱 시작(APP Launch Time)
    • Cold Start : 처음 앱 실행 시 초기 로딩 속도
      • 가장 무거운 시작 방식, 개선 어려움
      • 임계값 5s
    • Warm Start : 백그라운드 앱 다시 열었을 때 로딩 속도
      • Cold Start보다는 가벼우나, onCreate() 호출 등 포함 가능
      • 임계값 2s
    • Hot Start : 열린 앱에서 화면 간 전환 시 로딩 속도
      • 가장 빠른 속도, but 메모리 부족하면 일부 작업 추가
      • 임계값 1.5s

웹 전용 지표

  • LCP(Largest Contentful Paint) : 가장 큰 콘텐츠가 뜰 때까지의 시간
    • 2.5s 이하 : 빠름, 4s 이하 : 개선필요, 4s 초과 : 느림
  • INP(Interaction to Next Paint) : 사용자 클릭 반응 시간
    • 200ms 이하 : 빠름, 500ms 이하 : 개선필요, 500ms 초과 : 느림
  • CLS(Cumulative Layout Shift) : 로딩 중 화면이 갑자기 움직이는 정도
    • 0에 가까울수록 Good, 클수록 화면이 흔들리는 경우 다수
    • 0.1 이하 : 빠름, 0.25 이하 : 개선필요, 0.25 초과 : 느림

FPS

  • 초당 몇 개의 프레임(화면 이미지)를 그릴 수 있는지?
  • 부드러운 움직임에 대한 지표 (높을수록 화면 전환이 부드럽고 자연스러움)
  • 시간이 오래 걸림 → ‘끊김(jank)
  • 프레임 드랍 비율(Janky frames) → 높을 수록 사용자는 ‘렉 걸린다’고 느낌
    • 1~2% : 매우 양호, 3~5% : 보통/일부개선필요, 6~10% : 끊김 체감/주의필요, 10% 이상 : 사용자 불만

QA의 우선순위는 기능의 정상동작.
하지만, 효율적인 측정법과 품질 기준을 토대로 최적의 성능 품질을 제공하는 것도 매우 중요.

오늘 배운 것

  1. HTML

    block

    • 태그 사용 시 자동 줄바꿈되는 요소
    • 주로 문서의 구조 및 레이아웃 정의에 사용
    • div, form, h1~h6, br, etc.

    inline

    • 태그 사용 시 한 줄 안에서 다른 인라인 요소와 함께 표시
    • 주로 텍스트 관련 요소에 사용
    • button, img, label, span, etc.

    meta

    • 문자 인코딩, 문서 키워드, 요약 정보 표시
    • <meta charset="UTF-8">

    주석문

    • <!-- 주석내용 -->

    white space

    • 개수와 상관없이 공백 하나로 인정
    • 공백을 여러개 넣을 때 → &nbsp;

    colspan, rowspan

    • 세로 병합 시 병합된 첫번째 행만 병합된 셀 가져감

    img

    • src(경로), loading(로딩방식)

    a

    • target="_blank" (새창이나 새탭으로 열림)

    form

    • get : 명시적 표시 없는 경우, default 방식
    • post : 명시적으로 선언해야 함
    • <!-- 주석내용 -->

    semantic

    • 태그 자체에 의미 부여 (위치나 모양이 달라지는 것은 아님)
    • header, section, article, details, main, figure, etc.

내일 할 일

  1. 정처기 필기 모의고사 CBT 풀어보고 오답노트 (con.)
  2. 알고리즘 풀기
  3. 인프런 대규모 트래픽 강의 듣기

참고자료

results matching ""

    No results matching ""